건강 상식166 육부 중 위에 대하여 1. 서론 위장과 관련된 병은 사람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여러분의 위장상태는 어떻습니까? 속이 쓰리거나 밥 먹고 답답할 때 또는 신물이 올라오고 속이 더부룩할 때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한다든지 대변이 이상하다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하게 되고 위염,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위선종, 신경성 소화불량 등의 병명들이 나옵니다. 위장병의 근본 원인이라고 하여 티비 광고에도 자주 나온 세균, 광고 때문에 유명해진 그 세균을 알고 있으십니까? 위장건강에 주범이고 위염, 위암의 주원인인 바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입니다. 헬리코박터가 위염, 위궤양, 위선종, 심지어 위암까지 일으킨다는 사실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헬리코박터균에 대해서 더 나아가 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본론 그럼 헬리코박터균이 우리 위장에 .. 2024. 4. 4. 육부의 소개-담과 소장 1. 담 담력 있다, 간담이 서늘하다 등의 표현 등에서 간과 담은 우리 생활 속 깊숙히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ㄴ디ㅏ. 담력 있다 이 말은 어디에서 유래하였을까요? 간담이 용기 결단 등과 관련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담은 위치적으로나 역할적인 면에서나 독립된 하나의 장기라는 느낌이라기보다는 간의 역할을 분담하며 간장에 예속된 느낌이 강한 장기입니다. 그럼 담장의 역할을 한번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담의 역할 소화에 문제. 우선 담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담즙의 저장과 분비입니다. 황록색 담즙이 소화기간으로 잘 분비되어야 음식물의 소화가 잘되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담즙의 분비는 담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앞에서 간의 역할 중 소설 기능이라고 아실까요? 나무의 ㅏ지처럼 사방으로.. 2024. 4. 3. 오장육부 중 폐와 신장에 관한 이야기 1. 폐에 대해서 1) 폐의 특성 폐는 차가운 것에 민감하고 뜨거운 것에도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폐는 외부와 직통 연결된 장기로 외부기운에 민감하고 섬세하며 예민합니다. 또한 폐는 피부와 연결되어 피부가 숨 쉬도록 조절도 합니다. 찬바람에 움츠리고 놀란 폐는 연결된 모공을 닫아버리고 피부로 폐호흡을 못하게 됩니다. 피부 속 땀구멍이 막히게 되면 땀구멍으로 수분 증발이 안 되어 몸속의 수분이 정체되기 시작합니다. 호흡을 통해서도 수분 배출이 많이 되므로 폐는 수분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폐가 이상이 생겨 피부호흡을 못하면 피부도 점차 건조해지고 꺼칠꺼칠 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피부병은 폐를 다르려야 한다고 합니다. 폐가 움츠려 있으니 피부도 숨을 잘 못 쉬고 몸속 수분이 콧물로 줄줄 흐른다.. 2024. 4. 1. 한의학의 오장육부 중 비란 무엇인가? 1. 서론 한의학의 오장육부는 현대 의학의 오장육부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이번에 공부할 비장이라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비라는 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공부를 시작해야 할까요? 2. 본론-비장의 역할 우선 비라는 장기를 기와 같이 하나의 개념으로 보고 공부하면 됩니다. 기, 정, 신 등의 기질적 개념 말입니다. 우리가 공부할 내용 중에는 과학적인 방법으로는 검증되지 않은 것들이 더욱더 많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러한 내용들이 한약 공부의 핵심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대의학과 연관 지어 생각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한의학 고유의 개념대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음양오행의 눈으로 말입니다. 이렇게 말하면 어떤 사람은 그것 봐 한의학이 결국 미신이고 비과학적이라는 뜻이구.. 2024. 3. 31. 이전 1 ··· 37 38 39 40 41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