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0 활혈에 관하여 1. 활혈 활혈이란 우리 몸속 오장 중에서 간의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오장 중 간이 실행하는 몸의 대표적인 기능은 바로 소설과 활혈. 이 두 가지가 간의 핵심 기능이 됩니다. 예를 들자면 군인들은 일과시간에는 각자의 위치로 행해서 열심히 맡은 업무를 합니다. 그리고 일과를 마치고 부대로 복귀해서는 식사를 하고 취침하면서 낮 동안 방전된 에너지를 재충전합니다. 군인이 업무시간에 밖으로 나가서 일하는 것을 간의 소설이라고 하며 밤에는 부대로 돌아와 소비된 에너지를 재충전하는 것을 활혈. 이렇게 비유할 수 있습니다. 여기 생활관과 부대가 병력이 재충전하는 공간이 되듯, 간은 열심히 일한 혈액이 에너지를 충전하는 공간이 됩니다. 우리 몸의 혈액은 낮 동안 전신에서 열심히 일하며, 세포, 근육 등 전신에 귀중한 .. 2024. 4. 9. 오장육부의 표리관계에 대해서 1. 서론 오장과 육부 둘 사이를 음양으로 구별하면 오장이 음이 되고 육부가 양이되며 서로 표리관계를 이룬다고 하였습니다. 첫째, 간의 짝은 담장 둘째, 심의 짝은 소장 셋째, 비의 짝은 위장 넷째, 폐의 짝은 대장 다섯, 신의 짝은 방광 이번 시간에는 서로 표리관계를 이루는 오장육부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여 이해가 쉽게 되도록 해보겠습니다. 2. 본론 간의 소설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담즙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게 되듯, 오장육부의 표리관계는 병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오장육부는 표리관계에서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아닙니다. 오장육부는 표리관계뿐만 아니라 장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개념입니다. 결국 몸을 안다는 것은 장부가 하는 역할이 머릿속에 쭉 그려지는 것이고.. 2024. 4. 8. 방광과 삼초에 대하여 1. 방광 우선 방광은 오장 중 신장의 짝으로 소변을 저장하였다가 배출하는 장기입ㄷ니다. 오장육부의 기능은 자기 혼자만의 힘으로 결정되지 않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간의 짝인 담은 간의 기능에 의지하듯 방광 역시 신장의 기능에 의지하여 상호작용합니다. 나이가 들며 소변을 참기 힘들어지고, 자기도 모르게 소변이 흘러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나이가 들며 선천지관인 신장의 기능이 쇠약 해짐으로 나타나는 대표적 현상입니다. 방광염 등의 병증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30대 여자분의 몸 상태입니다 조금 무리하면 방광염에 걸린다고 합니다. 방광염 때문에 수시로 병원에 다니고요. 생활이 힘이 들겠죠? 이는 단순히 방광에 세균이 침범해서 발생할까요? 아니면 방광 자체가 허약해서 염증이.. 2024. 4. 6. 대장의 기능 1. 서론 대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비별청탁된 음식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소장에서 소화되고 남은 음식물찌꺼기를 항문으로 이동시킵니다. 탁기를 아래로 내려주는 기능은 앞에서 강탁이라고 했습니다. 즉 비별청탁과 승청강탁 후의 찌꺼기는 대장을 거치는 것이지요. 승청은 영양분을 흡수해서 폐로 전달하는 기능, 강탁은 찌꺼기를 대장으로 내리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대장은 수분의 처리와 배변 활동을 주관합니다 똥의 상태가 어떠한가에 따라 대장 건강을 직접 살펴볼 수 있습니다. 혹시 여러분의 대변 상태는 어떠한가요? 변비인가요? 설사를 자주 하나요? 아니면 변이 굻지 않고 갈라져서 나오나요? 밥만 먹으면 화장실을 가나요? 아니면 부모님이 변을 보시.. 2024. 4. 5.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다음